본문 바로가기

별자리

천문학별자리 페가수스자리 페가수스 자리(Pegasus)는 북쪽 하늘의 별자리로, 그리스 신화의 날개달린 말인 페가소스(페가수스)를 따라 명명되었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북방 현무의 실수와 벽수에 해당된다. 특징 페가수스자리 알파(마르카브, Markab), 페가수스자리 베타 (쉐아트, Scheat), 페가수스자리 감마 (알게니브, Algenib), 안드로메다자리 알파(알페라츠, Alpheratz 또는 시라흐, Sirrah)의 네 별은 '페가수스의 사각형'을 이룬다. 항성페가수스자리 알파(마르카브), 페가수스자리 베타, 페가수스자리 감마는 안드로메다자리 알파(알페라츠)와 함께 "페가수스 대사각형"이라는 커다란 성군을 이룬다. 페가수스자리 51은 외계 행성을 가지고 있음이 처음으로 밝혀진 유사 태양 항성이다. 페가수스자리 IK는.. 더보기
천문학별자리 공작자리 공작자리(Pavo)는 하늘의 남반구에 위치한 별자리이다. Pieter Dirkszoon Keyser와 Frederick de Houtman의 관측에 바탕하여 페트루스 플란키우스가 도입한 12개 별자리 중 하나이다. 공작자리는 1598년에 플란키우스와 요도쿠스 혼디우스가 공동제작하여 암스테르담에 내놓은 직경 35 센티미터 천구의에서 처음 나타나며, 요한 바이어의 1603년 별자리 지도책 《우라노메트리아》에서도 찾을 수 있다. 1756년에는 프랑스의 탐험가이자 천문학자인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공작자리의 별들에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이름을 부여했다. 공작자리와 두루미자리, 봉황자리, 큰부리새자리를 함께 묶어 "남반구의 새들"(Southern Birds)이라고도 한다. 공작자리에서 가장 밝은 공작자리 알파는.. 더보기
천문학별자리 머리털자리 머리털자리(Coma Berenices)는 사자자리의 꼬리 부근에 있는 별자리이다. 머리털자리는 원래 사자 꼬리 끝의 술로 여겨졌다. 동아시아의 별자리로는 태미원의 '낭장'에 해당된다. 특징머리털자리는 은하의 북극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위치는 적경 12h 51m 25s, 적위 +27° 07′ 48″이다.('J2000.0' 기점) 별과 천체 별자리는 특별히 밝지는 않으며, 4등급보다 밝은 별은 없다. 머리털자리 β별이 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며, 4.26 등급이다. 이 별은 본래 태양보다 약간 밝은데, 27광년 떨어져 있다. 두 번째로 밝은 별은 머리털자리 α성으로, 4.32등급이며, '다이어뎀(Diadem)'이라는 별칭이 있다. 이는 머리털자리에는 유일한 것이며, 베레니케의 왕관을 의미한다. 이 별.. 더보기